전체 글(54)
-
[Part.2] 웹이란?
1. 웹(www;world wide web)- 웹을 직역하면 거미줄이라는 뜻이 있다.- 전세계 인터넷이 연결된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소이다.- 웹 구성 : html, CSS, Javascript로 이루어져있다. 2. 웹과 인터넷- 웹은 인터넷의 부분 집합이다. - 인터넷은 모든 통신망을 하나로 합친다는 장소를 의미한다. 3. HTML- 문서의 뼈대 및 골격을 잡아주는 언어이다.- 어떤 텍스트를 넣을지, 이미지를 어디에 배치할지를 결정하는 언어이다. 4.CSS- 색상, 폰트, 애니메이션, 배치를 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5. Javascript- 동적 기능 구현- html과 CSS만 있으면 네이버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로그인을 만들려면 로그인 기능을 만들 수 있어야한다. 이 기능을 ..
2024.08.28 -
[Part.2] 클라이언트 & 서버
1. 클라이언트란?- 서버에게 요청을 하는 모든 프로그램을 뜻한다.- 웹 브라우저 크롬 같은 경우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 것이다. 2. 서버란?-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종류 : 웹, 앱, 네임, DB, 이메일, 미디어 서버 등
2024.08.28 -
[Part.2] 라이브러리 & 프레임워크
1. 라이브러리란?- 공통적으로 쓰는 기능을 모듈화한 뭉치이다.- 라이브러리는 기획, 디자인 이슈, 커스텀 이슈, 디버깅 이슈, 버전 호환 이슈, 리서치 시간 등 시행착오가 많기 때문에 무조건 가져다 쓴다고 다 되는 것은 아니다. 2. 프레임워크란?-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제공되는 정형화된 소프트웨어이다.- 라이브러리의 상위 개념이다.- 즉, 구조화된 틀이 있고 그것에 맞게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종류 : Spring, Vue.js, Angular 3. 전자정부프레임워크- 나라에서 정해준 구조화된 틀이다.- 일관성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4.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점- 소스 코드를 누가 컨트롤 하느냐의 차이가 있다.- 라이브러리 : 개발자가 컨트롤하고 프레..
2024.08.27 -
[Part.2] 형상관리 시스템
1. 형상관리시스템이란?- 소스 코드의 변경사항을 관리하는 도구이다.- 종류 : SVN, VCS, SCM, Git 2. Git이란?- 소스 코드의 버전을 관리하고 협업을 돕는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3. Github란?- Git으로 관리되는 소스 코드를 저장하는 원격 저장소이다. 4. 알면 좋은 Git 명령어- merge : 소스코드의 변경점을 취합하는 명령어이다.- branch : 개발에서는 독립적인 개발 라인을 뜻한다. - push : 로컬 컴퓨터의 소스코드를 원격저장소에 저장할 때 사용한다. - fetch : 원격저장소가 변경사항이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 pull : fetch + merge의 합성어이다. 변경사항을 확인하고 실제 변경점을 취합하는 명령어이다. - commit ..
2024.08.27 -
[Part.2] API
1.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들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이나 규칙을 제공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어떤 값을 전달하고 어떤 값을 요청할 것인지 상호 간의 규칙을 정하는 것이다.- 매개체 역할을 한다.ⓘ Note비유- 날씨 앱 :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API를 사용해 "현재 위치의 날씨를 알려주세요"라는 요청을 보낸다. 서버는 이 요청을 받아 현재 위치의 날씨 데이터를 응답으로 보내주고, 앱은 그 데이터를 이용해 화면에 날씨를 표시한다.- SNS 로그인 : 다른 웹사이트에서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기능을 사용할 때도 API가 사용된다. 웹사이트는 구글에 "이 사용자가 로그인하려고 합니다"라는 요청을 보내고, 구..
2024.08.26 -
[Part.2] 프로그래밍 언어
1. 프로그래밍 언어란?-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드는 언어이다.- 종류 : C, javascript, java, python 등- 언어마다 강점과 약점이 있다.(속도, 성능, 가독성 등)- CPU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바로 해석하지는 못한다.(기계어만 해석 가능)- 그래서 컴파일러가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고 해석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2. javascript란?- 웹 개발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언어이다.- 문법이 비교적 진입장벽이 낮다. 3. java란?-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쓰이는 언어이다.- CPU를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일수록 java 언어 성능이 좋아진다.- 보안에 우수하다. 4. python이란?- 머신러닝, 인공지능, 자연어처리, 빅데이터 분야에서 많이 쓰인다.- 간결하고 가독성이 ..
202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