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nae_note

@eunae_note

  • 분류 전체보기 (54)
    • IT 개념 정리 (20)
      • [인프런] IT입문자를 위한 전반적인 개념 정리 (19)
      • [인프런] 컴퓨터구조, 네트워크 기본 개념 정리 (0)
      • [기초 개념] (1)
    • 네트워크 (0)
      • [도서] 모두의 네트워크 기초 (0)
      • [도서]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0)
    • 리눅스(Linux) (1)
      • [도서] 이것이 우분투 리눅스다 (0)
    • 프로그래밍 언어 (0)
      • 프로그래머스 (0)
      • Python (0)
    • Project (0)
      • CI CD (0)
      • 3Tier Architecture (0)
    • AWS (12)
    • Terraform (21)
      • [인프런] 아키텍처와 함께하는 Terraform (21)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eunae_note

컨텐츠 검색

태그

서버 state 파일 backends MFA EBS 보안그룹 Terraform ip 클라우드 컴퓨팅 aws acess key 클라이언트 AMI ssh JavaScript EC2 IAM 설치 Provider 단일 tier AWS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state 파일(1)

  • [기본 구성 요소] state 파일

    1. state 파일- Terraform이 관리하는 인프라의 현재 상태를 저장하는 파일이다.- Terraform이 리소스를 추적하고 변경 사항을 계산하며 기존 리소스와의 동기화를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기본적으로 terraform.tfstate라는 이름으로 로컬에 저장된다.- 원격 저장소(ex. S3, Azure Blob 등)에서도 관리할 수 있다.  2. state 파일 주요 특징- 현재 상태 저장 : Terraform이 관리하는 모든 리소스 구성을 저장하여 실제 상태와 동기화한다.- 변경 사항 추적 : terraform plan과 terraform apply를 실행할 때, state 파일을 기준으로 변경 사항 계산한다.- 리소스 간 의존성 관리 : 의존성 추적하여 Terraform이 올바..

    2024.11.26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