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기초]클라우드 컴퓨팅이란?

2024. 3. 6. 16:05AWS

 

쉽게 설명하는 AWS 기초 강좌 1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https://www.youtube.com/watch?v=JjiYqBl2328&list=PLfth0bK2MgIan-SzGpHIbfnCnjj583K2m&index=2

 

 

1.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말한다.

 

* 온디맨드 : 수요에 반응함

 

2. 서버 - 클라이언트 아키텍처

  • 클라이언트들만 존재했을때

ex. 폭탄던지기 게임이라고 했을 때

유저가 늘게되면 굉장히 복잡한 통신이 일어나고 부하가 생긴다.
하나라도 통신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 정상적으로 게임이 돌아가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이유로 서버가 등장하게 된다.

 

  • 서버 등장

서버가 게임에서 스킬 정보, 아이템 등 여러가지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효율적인 구조가 된다.

 

  • 데이터 센터
서버가 많아지면서 데이터 센터가 등장한다.

□ 어플리케이션의 서버를 호스팅하는 실제 시설
- 하드웨어
- 네트워킹 장비
- 전원공급장치
- 전기 시스템
- 백업 발전기
- 환경 제어장치(에어컨, 냉각장치, 팬 등)
- 운영 인력 
- 기타 인프라

□ 데이터센터의 단점
- 운영 비용
  건물 유지비용, 서버 구매비용, 셋업, 유지보수 등
  한 번 구매하면 수요에 상관없이 계속 보유해야한다.

- 느린 구축 시간
  유저의 수요에 빠르게 대처하기 힘듦
  장애 기기를 교체하는 시간 역시 느림

이러한 데이터센터의 단점으로 인해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기 시작한다.

 

 

3. 클라우드

  • 클라우드의 출현
ex) 출장을 다니는 엔지니어가 숙박할 곳이 필요하다

□ 숙박할 집을 짓는다.     ==   데이터 센터
- 100% 내가 원하는대로 커스터마이징 가능
- 투자 비용이 많이 든다.
- 기간이 오래 걸린다.
- 상황변경에 쉽게 대처하기 어렵다.
- 유지보수를 내가 해야된다.

□ 호텔에 머문다.      ==   클라우드
- 체크인, 체크아웃
- 투자비용 적음
- 바로 사용 가능
- 유연한 사용 가능
- 유지보수 필요 없음
- 사용한 만큼만 돈을 지불     =====> 온디맨드(OnDemand) 

 

  • AWS가 말하는 클라우드의 장점
자본 비용을 가변 비용으로 대체
- 데이터 센터 구축 비용, 서버 구매 비용 => 운영비
- 막대한 초기비용 대신 쓰는 만큼 비용 지불

규모의 경제로 얻게 되는 이점
- 한 개를 사는 것보다 100개를 사는게 단가가 낮음 => 규모의 경제
- AWS의 규모의 경제로 인한 이득을 누릴 수 있음
- AWS의 모든 고객과 공동구매하는 효과

용량 추정이 불필요

속도 및 민첩성 개선
- 몇 번의 클릭으로 바로 리소스를 확보 가능
- 개발비용 절감

데이터 센터 운영 및 유지 관리에 비용 투자 불필요
- 인프라 관리가 아닌 비즈니스에 자원 집중 가능

빠른 확장성
- 몇 번의 클릭으로 전 세계에 서비스 가능


* 요약
- 초기 투자 비용이 적음
- 수요에 대한 빠른 대처 가능
- 불확실한 수요 예측에서 오는 손해가 적음
- 규모의 경제의 혜택을 볼 수 있음
- 제품의 개발에 집중할 수 있음
- 유지보수가 적음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기초]가상화  (0) 2024.03.07
[AWS 기초]IAM 기초  (0) 2024.03.07
[AWS 기초]AWS 계정 만들기 및 첫 설정  (1) 2024.03.06
[AWS 기초]AWS의 구조  (0) 2024.03.06
[AWS 기초]클라우드 컴퓨팅의 종류  (0) 2024.03.06